본문 바로가기
독서록

픽사 스토리텔링 독서록3

by 부력마법 2023. 7. 19.
반응형

3. 변화

이야기에 후크를 이용해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모았다면, 이제는 변화를 주어야 한다. 

관심을 끄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변화를 통해 사람들의 공감을 얻어야 한다. 하지만 인간은 변화를 좋아하지 않는다. (관한 내용은 역행자에서 유전자 오류의 내용이 있었다. 참고하자) 이 때문에 실제로 안주하는 삶에서 틀을 깨고 변화로 나아가는 사람은 적다. 스토리도 마찬가지다. 스토리는 잔잔하게 흐르면 안 된다. 

주인공에게 변화가 있고, 이 변화로 인해 관람객, 독자는 공감하고 또 변화를 해야 한다. 

책에서는 실제로 어떤 부부의 이야기를 예시로 들었다. 오랫동안 부부사이가 좋지 않아 갈라서기 직전 영화를 보러간다. 그것이 바로 영화 업이었다. 영화 업 초반 12분을 보며 두 부부는 울음을 터트렸다. 영화는 연인이 결혼하고, 사소한 다툼을 벌이다가 다시 화해하고 오랫동안 아이가 찾아오지 않는 불행을 겪었다. 영화속 부부는 새로운 목표를 설정했다. 이 이야기를 보며 실제 부부는 공감하며 변화했다. 그리고 시간이 흐른 뒤 두 아이의 부모가 되어 있었다. 

좋은 이야기는 이렇듯 사람들을 변화 시킨다. 

그러나 변화를 착가해서는 안 된다. 본질은 좋은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다. 좋은 이야기를 위해 집중할 때이지, 다른 것에 집중할 게 아니라는 의미이다. 

좋은 스토리는 캐릭터가 꼭대기와 바닥을 겪어야 한다. 스토리는 변화해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스토리는 힘을 잃게 된다. 

 

1. 캐릭터 아크 : 변화를 위해서는 캐릭터가 겪는 변화를 '캐릭터 아크'라고 한다. 캐릭터 아크는 캐릭터가 두려움, 한계, 난관, 상처 등 거치면서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1) 스토리는 어느 평범한 날에 시작된다.
2) 캐릭터는 낯선 곳으로 들어가 자신의 사고방식과 다른 상황을 마주하고, 다양한 등장인물과 장애물을 만나 변화한다. 
3) 후반부에 캐릭터는 스토리가 시작한 초반으로 돌아오지만, 이전과는 여러모로 달라져있다. 

캐릭터 아크는 단순 사건과 난관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의 가치관과 헤쳐나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장치이다. 

 

2. 스토리 ABC : 스토리 A는 주연으로 전체 60%, B는 주조연 전체 30% C는 조연 전체10%

스토리에 이러한 비중을 차지하게 구성하여 지루하지 않게 구성해야 한다. 책 속에서는 예로 토이스토리를 들었다. 스토리 A는 우디, B는 버르, C는 포테이토 공룡 렉스등 각 캐릭터가 변화하는 장면을 끊임없이 ABC, ABC 이어지게 구성한다. 

 

ABC 스토리와 변화를 이용하자, 가만히 보면 내가 다 알고 있었던 내용들인데... 그동안 내가 활용하거나, 생각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요즘 작법서와 함께 보니까, 잘못된 부분이 많다는 걸 깨달았다, 이렇게 저렇게 고쳐야 할 이야기가 많은 것 같으니까 감당이 되지 않는다. 

원래 급하게 먹는 밥이 체하는 법이다. 하나씩 해결하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먼저 시놉시스 내용을 딴딴하게 쓰는 것, 그리고 주조연 캐릭터의 설정을 다시 확고하게 잡는 것. 이번 집필하는 소설은 이 두 가지만 되어도 성공이라고 생각해. 맛깔나는 대사치는 것까지 하고 싶지만, 욕심이 과하면 안되. 과유불급! 

 

 

반응형